본문 바로가기
주식일반

주식, 채권, 기준금리의 관계는 생각보다 복잡하다

by 브룡 2021. 12. 17.
반응형

일반적으로 주가가 오르면, 주식 인기가 좋아서 채권 수요가 떨어지고 그래서 채권 가격은 내리고 채권 가격의 반대인 수익률은 오르는, 다시 말해 주가와 채권 수익률은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이는 논리적으로는 맞는 말이나, 실제로 주가가 빠질 때 사람들이 채권도 팔아서 채권 수익률이 올라가는 역(-)의 상관관계가 있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주가가 오를 때 채권 가격도 올라서 채권 수익률은 떨어지는 다른 종류의 역의 상관관계가 있을 수도 있다. 한 마디로 주식과 채권의 관계라는 칼로 자르듯이 명확한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얘기다. 아래 그림을 보면 미국 S&P 500 주가와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어떨 때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다가, 어떨 때는 음의 상관관계를 갖기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때그때 다르다는 얘기. 

 

채권 수익률은 기준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주식에 늘 대응해서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왜 그럴까. 이는 주식과 채권이 반드시 대체체로만 사용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시중에 돈 자체가 안 풀리면 유동성이 없어서 채권이나 주식이나 둘 다 인기가 없는 경우가 있고, 반면 유동성이 넘쳐나면 둘 다 인기 높을 확률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장이 정체되어 있고 유동성도 예전에 비해 별 차이가 없으면 주식과 채권은 서로 경쟁 상대로 될 수 있을 것이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기존 채권 수익률은 거의 늘 오른다 (기존 채권 인기가 사라진다는 얘기). 그런데 기준금리가 오르면 주가는 내릴까? 일반적으로는 기준금리가 올라서 돈이 예금이나 채권 등으로 가기 때문에 주가가 내릴 것이라 생각하지만, 미국 시장을 보면 늘 그런 것도 아니다. 실제로 리먼 사태 전까지 미국 연준은 기준 금리를 계속 올렸음에도 주가가는 내내 고공행진을 한 적이 있다. 왜냐? 금리를 올렸다는 말은 그만큼 경기가 생각보다 좋다는 뜻이고, 경기가 좋으면 기업이 좋은 실적을 올릴 가능성이 높을 것이고, 그래서 결과적으로 돈 잘 버는 회사의 주가는 오를 확률이 높다. 그래서 기준금리와 주가의 관계도 생각보다 복잡하고 한 마디로 딱 잘라서 얘기 하기가 어렵다

 

그러니 기준금리가 올라서 주가가 떨어질 것이라는 말은, 논리적으로는 이해가 되지만, 너무 단순화된 얘기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