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플레이션5

[TLT #10] 채권은 지금 경기침체만 본다 와 채권이 이렇게까지 강한 뷰를 보인적이 있었던가. 지난 1년 정말 역사상 최악의 공포를 맛본 채권시장이 이번에는 물가 상승과 연준의 빅스텝 자이언트스텝 스텝바이스텝 무베이베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버티고 있다. 내일 물가지수가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다. 모두의 예상대로 많이 내려갔으면 채권 시장은 더욱 강세를 보일 것이다. 그러나 만약 잘 잡히지 않았다면? 그럼 채권 시장은 한 번 더 무너진다 (이미 무너질대로 무너지긴 했지만). 기준 금리 2.5%인데 10년 국채가 2.7%이라는 이 어이없는 상황. 이 우스꽝스러운 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논리는 거의 한 가지만 있다고 본다. 매우 강한 경기침체. 경기침체가 열라 세게 올 것이고, 연준은 종국에는 금리를 내릴 것이다. 채권쟁이들은 이 논리다. 과연 그럴까... 2022. 8. 10.
인플레는 쉽게 멈추지 않는다 인플레의 추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며 일시적이지 않을 것이다. 이런 시기에 무엇을 사야 하는가. 답은 매우 명확하다고 본다. 2022. 6. 10.
그래도 인플레가 낫다 (디플레보다는) 김일구 상무의 인사이트는 정말 대단. 어쩜 저렇게 계속 인사이트가 나올까. 동의한다. 인플레가 무조건 나쁜 건 아니다. 어떤 기업에게는 오히려 투자를 늘리기 위한 좋은 모티베이션이 될 수도 있다. 가격 전가하는 기업들은 땡큐하고 이 기회를 이용할 것이다. (1) 금융과 실물경제의 차이 주목, 인플레이션에 적응할 시간 필요 [김일구의 쩐쟁]_STEPS - YouTube 2022. 5. 30.
인플레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수 있다 원자재 투자를 단기 투자가 아니라 장기적으로 끌고 가야할 이유가 아래 기사에 있다. 생각보다 인플레가 오래갈 수도 있고, 단순히 코비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에 인플레가 온 건 아닌 것 같다. 지난 20여 년 인플레가 오지 않은 건, 기술 발전 + 중국 (및 아시아)의 값싼 노동력 대거 유입 때문이다. 그런데 이제 중국도 점점 고령화되고 있고, 노동비도 예전만큼 싸지 않다. 게다가 미중 패권에 러시아까지 들어가면서 에너지를 비롯한 원자재 전쟁이 일어나고 있으니, 향후에도 원자재 투자 전망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본다. Charles Goodbanker라는 영란은행 전 총재에 따르면, 인플레는 앞으로도 계속 높은 수치로 이어질 것이다. 인구구조 변화가 가장 큰 이유이다. 중국조차도 30년 후에는 일할 수.. 2022. 3. 10.
원자재의 시대가 도래할 것인가 아래 그림은 S&P 500 대비 원자재 상대적 가격 차트이다. 원자재는 리먼 금융위기 이후 미국 주식 시장에 비해 사실 전반적으로 열세였으며, 거의 10여 년만에 인플레 우려와 함께 시장으로부터 다시 재조명되고 있다. 그러나 원자재도 원자재 나름이라, 현재는 오일, 천연가스등의 에너지 원자재 및 전기차에 필요한 구리, 알루미늄, 그리고 리튬 원자재 등이 더 주목 받고 있으며, 한 때 순간 많이 올랐던 목재나 철광석 등은 다소 힘을 잃은 상태이다 (철광석 수요 감소는 중국 헝다 사태도 영향도 있다). 그러나 전반적인 인플레가 더 강화된다면 거의 모든 원자재들이 향후 몇 년은 더 오르지 않을까 생각되는데, 과연 시장은 어떻게 흘러갈 것인지. 개인적으로 당분간은 원자재 강세의 시대가 올 것으로 보고 있다. 2021. 10. 19.
반응형